기존반든ec2의 vpc 변경 못하게 만들어놨다.

기존에 ec2가있을때 모든것을(안의 세부적인내용까지) 복사하고싶을때 

 

 

 

 

 

ec2 작업- 이미지 및 템플릿 - 이미지생성 

 

 

 

이름설정 후 생성

 

 

 

 

 

상태가 대기중이다가

 

 

 

 

 

 

이렇게 사용가능으로 바뀌면 

 

 

 

 

선택해서 ami로 인스턴트시작하기를 누른다 

 

 

 

 

기존 인스턴트만드는것과 비슷하게 이름 설정 후 (기존저장된게 아닌 다른 머신으로 바꿀수도있다.)

 

 

 

 

유형과 키페어 보안그룹 모드 설정 후 인스턴트 시작 하면 저장했던게 그대로 만들어진다.

 

내부의 서버 재시작만 해주면된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 적용 (로드밸런스)  (0) 2023.03.16
aws route53 도메인 설정하기 (가비아)  (0) 2023.01.02
ec2 생성  (0) 2022.11.29
vpc 설정  (0) 2022.11.29

Elastic Load Balancer을 사용하여 https 설정 후 

 

access로그에 계속 ELB-HealthChecker/2.0라고 떠서 다른로그를 볼수가없을때

 

 

 

ubuntu

cd /etc/nginx/sites-enabled/

nano 자신의 설정값 접속 

 

 

map $http_user_agent $ignore_ua {
default                 1;
"ELB-HealthChecker/2.0" 0;
}

server {
        client_max_body_size 0;
        listen 80;
        server_name 내아이피주소;

        location = /favicon.ico { access_log off; log_not_found off; }

        location / {
                access_log /자신경로/logs/nginx_access.log combined if=$ignore_ua;
                error_log  /자신경로/logs/nginx_error.log;

                include proxy_params;
                proxy_pass http://unix:/tmp/test.sock;
        }
}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반응형

'python > fast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t access refresh token에 대한 정의  (0) 2022.09.07
sqlmodel create_all table생성 안될때  (0) 2022.08.31
[Errno 48] Address already in use  (0) 2022.08.29

https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cloudfront 사용 or load balancing 사용 

로드밸런스를 사용하겠다.

 

route53에 도메인과 ec2가 생성되어있다는 전제로 시작한다.

 

 

1.Certificate Manager에 들어가서 인증서 생성 요청

 

 

 

 

다음

 

 

 

 

원하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 후 생성 (단일로 써도되지만 *.을 쓰면 모두적용된다) 다른건 건들게없다 

 

 

 

 

다만든후 인증서를 클릭한다

 

 

 

인증서 상세페이지에 도메인부분에 Route 53에서 레코드생성

 

 

 

 

route53에 구매한 도메인이 뜰거다 레코드생성 

 

 

 

route 53에서 구매한 도메인에 들어가면 인증서에 등록된 cname 이름,값 들이 들어가있다.

 

 

 

2.ec2로와서 로드밸런싱-대상그룹 을 클릭 후 생성 

 

 

 

 

대상그룹 이름만 쓰고 다른건 건들게없다 

 

 

 

 

생성 후 아래 화면에서 보류중인것으로 포함을 꼭눌러야한다

 

 

 

 

 

내려갔으면 대상 그룹 생성 

 

 

 

 

 

3.이제 ec2의 로드밸런서 생성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클릭

 

 

 

 

 

밸런서 이름을 적고 ex)test-ALB

 

 

 

 

가지고있는 기본 vpc의 서브넷들 모두 선택

 

 

 

 

보안그룹 설정후 https를 사용할거기때문에 https만 있어도되지만 http도 사용하려면 리스터 추가로 http도 추가해준다 

 

 

 

 

 

인증서는 아까 만든 인증서 선택 그다음 로드밸런서 생성

 

 

 

 

로드밸런서 상태가 active로바뀌면 사용가능

 

 

 

 

 

4.이제 route53으로 돌아와서 가지고있는 도메인 클릭 후 레코드 생성 클릭 후 

원하는 이름과 ,레코드유형 A

별칭 선택 후 load balancer -리전 서울- 아까만든 밸런서클릭하고 만들면 잠시후에 적용된다

 

 

vpc 기본설정대신 만들어서했더니 문제가생겨서 고생을 하였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복사하여 재생성 ami  (0) 2023.03.17
aws route53 도메인 설정하기 (가비아)  (0) 2023.01.02
ec2 생성  (0) 2022.11.29
vpc 설정  (0) 2022.1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