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c 먼저 해야 ec2를 만들수있다.

 

ec2로 와서 인스턴스 시작 클릭

 

 

 

 

이름과 사용할 서버 클릭(ex-ubuntu)

 

 

 

 

키페어 생성 or 선택 (생성해서 저장하면 pem생성자를 가진 키)

네트워크 설정에 vpc와 서브넷은 vpc에 만든게 자동으로 들어가 있음 (복수면 직접 선택)

퍼블릭 ip 자동할당 활성화, 기존보안그룹 선택 클릭 (vpc만들때 하나 기본으로 만들어진 default)

이정도 하고 인스턴스 시작 

 

 

 

 

 

만들었다고 ssh로 접속하려하면 안된다.

ec2 -> 보안그룹 -> 인바운드 규칙 -> 인바운드 규칙 편집 클릭

 

 

 

 

규칙추가-> 유형 ssh 설정, 내 ip 클릭,설명 입력 후 규칙 저장 하면 끝

 

ssh접속할때 pem키와 id를 ubuntu로 해야 접속이 가능하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복사하여 재생성 ami  (0) 2023.03.17
https 적용 (로드밸런스)  (0) 2023.03.16
aws route53 도메인 설정하기 (가비아)  (0) 2023.01.02
vpc 설정  (0) 2022.11.29

기본 vpc가 없을때 

기본생성할수있고 직접만들수있다 

 

 

기본생성방법

vpc 에 들어가 작업-기본vpc생성 클릭 

=========================================================================

직접생성

 

1.vpc 만들기

 

vpc생성하기 클릭

 

 

 

 

이름과 10.0.0.0/16 입력 후 생성

 

 

 

2.서브넷 만들기

 

서브넷 생성 클릭

 

 

 

 

vpc id는 아까만든거 하나 있는데 클릭 , 이름과 가용영역, 10.0.0.0/24 입력 후 생성

 

 

 

 

3.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클릭

 

 

 

이름 입력후 생성 

 

 

 

 

만들면 위에 녹색으로 vpc에 연결하기 클릭

 

 

 

 

사용가능한 vpc 설정 후 연결 

 

 

 

 

4.라우팅 테이블 생성

_는 기본으로 만들어진것임 무시하고 라우팅 테이블생성 클릭

 

 

 

 

이름과 vpc설정 후 생성 

 

 

 

생성 후 클릭 후  서브넷 연결 클릭하여 서브넷 연결 편집 클릭

 

 

 

만든 서브넷 클릭하여 연결 저장 

 

 

 

 

이제 라우팅 클릭하여 라우팅 편집 클릭

 

 

 

 

 

0.0.0.0/0 과 ::/0 각각 적어주고 대상엔 인터넷 게이트웨이 클릭하면 자동으로 만든게 뜸 설정 후 저장 

 

 

public으로 쓸것만 만들었다 . private도  public이라 만들었던것을 private으로 추가로 생성 private은 라우팅편집 없음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복사하여 재생성 ami  (0) 2023.03.17
https 적용 (로드밸런스)  (0) 2023.03.16
aws route53 도메인 설정하기 (가비아)  (0) 2023.01.02
ec2 생성  (0) 2022.11.29

일단 Scaffold에 appbar를 사용안한다면  AnnotatedRegion설정으로 해결

AnnotatedRegion(
  // status icon and text color, dark:black  light:white
  value: SystemUiOverlayStyle.dark,
  child: Scaffold(
     // statusbar color
     backgroundColor: Colors.white,
     body : SafeArea(****)
  )
}

 

 

AppBar를 사용한다면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Scaffold(
      appBar: AppBar(
        systemOverlayStyle: SystemUiOverlayStyle.dark, # or light
        backgroundColor: Colors.red, # status bar color
      ),
    );
  }

 

 

 

 

참고: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0501799/flutter-how-to-set-status-bar-color-when-appbar-not-present,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5209774/flutter-change-status-bar-brightness-to-dark

 

 

 

ios에서만 statusbar가 안보인다면  ios-Runner-info.plist에 들어가서 

<key>UIViewControllerBasedStatusBarAppearance</key>
<false/> 이부분을 true로 바꿔준다 

반응형

'flutter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cuweather 401 error 날때  (1) 2023.08.07
flutter app screenshot disable 스크린샷 막기  (0) 2023.02.22
svg 안열리는 문제  (0) 2022.03.05

1. console.cloud.google.com에 들어가서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줍니다.

2.api 및 서비스 - 라이브러리에 들어가서 maps 검색후 Maps SDK for iOS,Maps SDK for Android 눌러서 활성화 합니다 

 

 

 

 

3.api 및 서비스 들어가서 사용자 인증정보 클릭 후 -사용자 인증정보 만들기 - api키 클릭 

 

 

 

사용자 인증정보 만들기 -> api키 선택

 

 

 

4.android설정 

 

패키지이름 위치

 

 

다음과 같이 터미널을 연 후 

 

 

 

아래 터미널에 gradlew signingReport 입력 후 엔터 치고 debug release 등 많은데 선택해서 sha1 복사 후 홈페이지에 입력 

안되면 ./gradlew signingReport

 

 

 

5.ios 설정

3번으로 다시 인증서 정보 만들기 후 ios,번들 설정 후 만들기

 

 

 

 

6.flutter 앱 설정 

https://pub.dev/packages/google_maps_flutter

 

android

application안에 어느위치든 넣어준다value는 아까 만든 google map aos key를 넣어준다

 

ios

Runner - AppDelegate 안에 값을 넣는다 

 

 

 

code

_googleMap() {
  final CameraPosition _kGooglePlex = CameraPosition(
    target: LatLng(37.42796133580664, -122.085749655962),
    zoom: 14.4746,
  );
  return AspectRatio(
      aspectRatio: 2 / 1,
      child: GoogleMap(initialCameraPosition: _kGooglePlex));
}

 

 

 

잘나옴

반응형

'flutter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fcm push  (0) 2023.03.30
firebase dynamiclink 만들기  (0) 2023.03.03
money comma  (0) 2021.11.05
flutter 현지화  (0) 2021.07.28
TextField 사용시 바깥부분 터치시 focus 잃게하는방법  (0) 2021.07.28

1.cli 설치

curl -sL https://firebase.tools | bash

mac 터미널에서 실행

 

2.터미널에서 firebase login 실행 하여 로긴

 

3.터미널에서 dart pub global activate flutterfire_cli 실행

 

4. 내가 만든 플러터프로젝트의 터미널에서 flutterfire configure --project=프로젝트이름 실행

(zsh: command not found: flutterfire 에러날거임  https://thomass.tistory.com/78 참고)

프로젝트많다고 안되면 flutterfire configure 만 실행 후 만든프로젝트 고르면된다

 

5. 프로젝트내의 터미널에서 flutter pub add firebase_core 실행 라이브러리 설치인데(pubspec.yaml에서 직접넣어도된다 )

직접넣으면  DefaultFirebaseOptions부분이 임폴트가 안될텐데 그땐 다시 flutterfire configure 하면 된다

import 'package:firebase_core/firebase_core.dart';
import 'firebase_options.dart';


await Firebase.initializeApp(
  options: DefaultFirebaseOptions.currentPlatform,
);
반응형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설치 mac  (0) 2025.06.09
앱 이름 국제화  (0) 2024.01.28
firebase export PATH="$PATH":"$HOME/.pub-cache/bin  (0) 2022.09.22
mac os에 flutter 설치  (0) 2021.07.17

firebase 설치도중 

flutterfire configure --project=프로젝트이름 칠때 

 

zsh: command not found: flutterfire 이렇게뜨거나

or 

firebase export PATH="$PATH":"$HOME/.pub-cache/bin 이 에러가 뜬다면 

 

 

 

방법1

touch ~/.zshrc
open ~/.zshrc

하면 창하나 열리는데 export PATH="$PATH":"$HOME/.pub-cache/bin" 복붙 저장하면 끝

방법2

echo 'export PATH="$PATH:/Users/minhyun/flutter/bin"​' >> ~/.zshrc
source ~/.zshrc

 

방법3

1.mac 터미널에 vim ~/.zshrc  (finder에 왼쪽 본인이름폴더 누른 후 command+shif+. 누르면 숨긴파일보이는데 그곳에 .zshrc있음)

2.i 엔터  (수정모드)

3.에러에뜬 export PATH="$PATH":"$HOME/.pub-cache/bin" 입력 후 esc

4. :wq! 입력 후 엔터  source ~/.zshrc 하면 업데이트내용 적용

 

나는 3번쯤에서 꼬여서 

1번의 파일경로로 가서 직접 열어서 직접추가하고 수정하고 스튜디오 재부팅하니 잘된다 

 

 

완료되면 터미널을 껏다가 켜야 작동함

 

 

 

참고: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1487625/how-can-i-resolve-zsh-command-not-found-flutterfire-in-macos

반응형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설치 mac  (0) 2025.06.09
앱 이름 국제화  (0) 2024.01.28
fireabase 연동  (2) 2022.09.22
mac os에 flutter 설치  (0) 2021.07.17

The run destination iPhone is not valid for Running the scheme 'Runner'.

Xcode doesn’t support iPhone’s

이에러가 떴다면 

 

 

에러 옆에 뜬 IOS 버전을 아래 깃에서 찾은 후 다운받는다 ex)16

https://github.com/iGhibli/iOS-DeviceSupport/tree/master/DeviceSupport

 

 

finder-응용프로그램-xcode 오른쪽 - 패키지내용보기 /Contents/Developer/Platforms/iPhoneOS.platform/DeviceSupport

 

여기에 16만 없다

다운받은 압축파일을 여기안에 넣으면 끝 

반응형

db에 넣을때는 

SRID=4326;POINT(137.56276780042197 126.92813920924125)

ex)
location='SRID=4326;POINT(137.56276780042197 126.92813920924125)'

 

db에 있는 Point type은 불러오면 에러를 뱉는다 그러므로 처리를해줘야한다 

원인은 WKBElement 이놈 때문이다

 

1. 이방식으로 하면 response_model이 작동을 안함

stmt = select(Table).where(Table.id == trable_id)
travel = session.exec(stmt).one_or_none()

travel = jsonable_encoder(travel, custom_encoder={
    WKBElement: lambda
        location: f"{to_shape(location).x},{to_shape(location).y}"})

2.이방식으로 하면 잘받아온다 하지만 복잡한 구조로된 모델일경우 이마저 작동을 안한다

from geoalchemy2.shape import to_shape

class ModelRead(ModelBase):
    id: int
    create_at: datetime.datetime
    updated_at: datetime.datetime
    user_id: int
    location:str # point 받아오는 변수명
    
    @validator('location', pre=True, allow_reuse=True, whole=True, always=True)
    def correct_geom_format(cls, v):
        if not isinstance(v, WKBElement):
            raise ValueError('must be a valid WKBE element')
        return f"{to_shape(v).x},{to_shape(v).y}"

 

 

point타입이 위도,경도를 모두 포함하여 개꿀인줄 알았으나 쓰면 골치가 많이아프다..그래서 다시 나눠서쓴다..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6044397/how-to-create-a-sqlalchemy-class-attribute-from-a-calculated-field-in-sql-query

반응형

이미지 만들고 허브에 올리고 다운받아서 실행했는데 

standard_init_linux.go:230: exec user process caused: exec format error

이런 에러가 생겼다면 

 

이미지를만든 환경과 실행하는 환경이 달라서 일수있다 

나는 m1을 쓰는데 m1은 arm64를 기본으로 토커이미지를 생성함 

내가 실행한 환경은 nas인데 나스는 amd64환경이였다. 

 

 

ex)

m1이면 기본으로 arm64가 들어가있다고 보면된다

docker build --platform=linux/arm64 -t fastapi-test:0.0.1 . 

 

amd로 변경

docker build --platform=linux/amd64 -t fastapi-test:0.0.1 .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2494853/standard-init-linux-go178-exec-user-process-caused-exec-format-error

반응형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image를 docker hub에 업로드하기  (0) 2022.09.09
docker file 작성 & 이미지 생성  (0) 2022.09.09
ubuntu error  (1) 2020.08.03
docker 설치하기  (0) 2018.11.18

docker hub 가입후 

docker desktop에서 로그인을 한 후 

docker hub에서 create repository 생성

 

 

fastapi로 만들겠다

 

 

 

아래와같이 생성되었다

 

 

나의 도커 images현황이다 fastapi-test를 올릴건데 docker hub의 이름과 맞춰줘야 하므로 이름을 바꿔주자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 실행

docker tag fastapi-test:0.0.1 thomas819/fastapi:0.0.1

 

fastapi-test:0.0.1 = 현재 만들어 놓은 image의 이름:tag

thomas819/fastapi:0.0.1 = docker hub의 이름과 내가 올리고자하는이름의 tag

 

아래와 같이 hub에서 생성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더 생긴다 

 

이제 터미널에서 아래명령어를 실행하면 업로드가 된다

docker push thomas819/fastapi:0.0.1 

 

반응형

+ Recent posts